[EATceed] CH02. 프로젝트 소개
기능 변경
회고록을 진행하여 기능 변경과 추가에 대해 고민을 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다.
1. 음식 분류 모델을 이용한 음식 등록
2. 사용자의 신체정보, 특이사항,섭취 영양정보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 도출
음식 분류
음식 분류 모델 서빙은 음식을 등록할 때 AI 모델이 음식을 분류해주면 좋겠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기능을 추가하였다.
모델을 직접 만들기에는 인력이 부족하고 AI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지 않아 AI Hub에 존재하는 모델을 사용하여 FastAPI로 서빙을 하고자 한다.
Model을 통해 나온 결과값을 Client에게 제공하기 위한 API 서버를 FastAPI로 직접 구축하므로 좋은 경험이 될 것 같다.
식단 및 영양정보 분석 결과 제공
사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 도출은 단순히 기능적인 면에서 고려한 기능은 아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기획을 생각해봤을 때 체중을 증가하고 싶은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앱이다. 살을 찌고 싶어하는 타겟은 누구일까? 바로 2030 남성들이라고 생각한다. 해당 연령층 중 마른 사람들이 우리의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라고 결론을 내렸다.
다음으로 "AI 기술로는 해당 기획에서 어떤 것을 할 수 있을까?"라는 많은 고민이 있었다.
사용자의 유입을 늘릴 수 있다면 성공적인 기능이라고 생각하였고, 최종적으로 선정한 기능은 사용자의 신체정보, 섭취한 영양요소 등을 기반으로 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단순히 수치 상으로 어떤 영양소가 부족하다는 기능이 아닌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행동 지침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지금은 기획 단계이기 때문에 기능에 대한 기술 스택은 추후에 업로드할 예정이다.
결론
이번 기획에서는 단순히 기능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 기획 중심으로 기능을 선정하였기에 많은 기대가 된다.
또한, Model Serving 및 분석 기술에 대한 첫 시도이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즐겁게 해보려 한다!
EATceed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기획과 시행 착오에 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EATceed] 1. Version_1 회고록
1. EATceed version 1 기획 내용 개발 동아리 Econovation에서 진행한 EATceed 프로젝트는 체중 증가를 목표로 하는 분들을 위한 맞춤형 앱이다. 기존에 스토어에 있는 앱들은 체중 감량에 초점을 맞춘 서비
wwns1411.tistory.com